[시리즈 3/3] 매일 아침 AI가 뉴스를 큐레이션하는 법 - 성능 최적화와 운영 노하우
·
AI
시작하며안녕하세요. 개발자 stark입니다!지난 1편에서는 문제 발견과 기술 선택을, 2편에서는 아키텍처 설계와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을 다뤘습니다. [시리즈 1/3] 매일 아침 8:30 자동으로 도착하는 AI 뉴스 큐레이션 [시리즈 1/3] 매일 아침 8:30 자동으로 도착하는 AI 뉴스 큐레이션 (문제 정의 및 기술 선택)시작하며안녕하세요. 개발자 stark입니다.이번 시리즈는 저희 회사 휴넷에서 사내 동아리 "AI탐험대" 활동을 하며 만들게 된 "AI 기반 RSS 자동화 플랫폼"을 어떻게 만들게 되었는지 그 과정에 대한curiousjinan.tistory.com[시리즈 2/3] AI 뉴스 큐레이션 시스템 아키텍처와 프롬프트 개선기 [시리즈 2/3] 매일 아침 8:30 자동으로 도착하는 AI 뉴스 큐레이..
[시리즈 2/3] 매일 아침 8:30 자동으로 도착하는 AI 뉴스 큐레이션 (설계 및 엔지니어링)
·
AI
시작하며지난 1편에서는 문제 발견과 기술 선택 과정을 다뤘습니다. 이번 2편에서는 본격적인 개발 이야기를 하고자 합니다.2025.10.26 - [AI] - [시리즈 1/3] 매일 아침 8:30 자동으로 도착하는 AI 뉴스 큐레이션 [시리즈 1/3] 매일 아침 8:30 자동으로 도착하는 AI 뉴스 큐레이션시작하며안녕하세요. 개발자 stark입니다.이번 시리즈는 저희 회사 휴넷에서 사내 동아리 "AI탐험대" 활동을 하며 만들게 된 "AI 기반 RSS 자동화 플랫폼"을 어떻게 만들게 되었는지 그 과정에 대한curiousjinan.tistory.com이번 2편에서는 1개 파이프라인을 3단계로 분리하고, Template Method 패턴을 적용하며, 프롬프트를 v6까지 개선한 과정을 다룹니다. 시작하기 앞서 제가..
[DDD] 카카오 로그인 써도 일반 서브도메인이 아닌 이유
·
DDD
시작하며안녕하세요, 개발자 stark입니다.최근 제가 리더로 있는 개발 동아리 Pulse에서 커플 관련 서비스를 개발하며 DDD를 적용하던 중 흥미로운 논쟁이 있었습니다. "우리는 카카오 로그인만 쓰는데, 회원 정보도 관리해야 하고... 이거 회원 도메인이 일반 서브도메인인가 지원 서브도메인인가?" 단순해 보이는 이 질문이 왜 그렇게 복잡했는지, 저희가 어떤 과정을 거쳐 답을 찾았는지 공유하려 합니다. DDD 개념 간단히 이해하기DDD를 처음 접하면 용어들이 헷갈립니다. 먼저 이것부터 명확히 하고 갑시다. 도메인(Domain)은 우리가 해결하려는 비즈니스 문제 영역 전체입니다. 저희의 경우 "커플 여행 추천 서비스" 자체가 하나의 도메인입니다. 서브도메인(Subdomain)은 이 큰 도메인을 비즈니스..
[시리즈 1/3] 매일 아침 8:30 자동으로 도착하는 AI 뉴스 큐레이션 (문제 정의 및 기술 선택)
·
AI
시작하며안녕하세요. 개발자 stark입니다.이번 시리즈는 저희 회사 휴넷에서 사내 동아리 "AI탐험대" 활동을 하며 만들게 된 "AI 기반 RSS 자동화 플랫폼"을 어떻게 만들게 되었는지 그 과정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 합니다. AI 탐험대의 개발자 인원들을 조금 설명해 드리자면 "앱 개발팀의 Eddy님, 프론트 개발팀의 Seaweed님, 그리고 러닝메이커 솔루션팀의 Stark(저)"이렇게 3명이 함께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개발자 외에도 많은 분들께서 저희와 함께해주고 계십니다. 단, 이번 글에서는 함께 개발을 진행했던 인원들만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시리즈의 전체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1편 (현재): 문제 발견과 기술 선택2편: 아키텍처 설계와 프롬프트 엔지니어링3편: 성능 최적화와 운영 노..
[DDD] 도메인 서비스에 Port 사용은 적절한가? | 헥사고날 아키텍처와 Application Service 관점
·
DDD
시작하며안녕하세요. 개발자 stark입니다.저는 최근 1년간 사내에서 헥사고날 아키텍처로 구성된 MSA 프로젝트를 개발했습니다. 그리고 이제 어느 정도 안정화 단계가 되어 지속적으로 프로젝트 구조를 리펙토링 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팀 내에서 회의를 9차 정도 진행했는데 그 과정에서 흥미로운 주제로 이야기를 했던 것이 있어서 포스팅을 작성하였습니다. 저희는 시간 날 때마다 아키텍처 관련 얘기를 하곤 하는데 어느 날 선배님께서 이런 주제를 던져주셨습니다. 프로젝트에 헥사고날 아키텍처와 DDD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계층 간 역할을 명확하게 분리하여 서로의 침범이 없도록 하는 것이 정말 중요한데 과연 우리는 제대로 구성했을까? 이 주제로 대화를 진행하다 저희의 프로젝트를 다시 분석해 보기 시작했고 그중에서 가..
[바이브 코딩] #6: Monkeys 프로젝트 최종 보고
·
AI
들어가며안녕하세요, 개발자 Stark입니다!Team Monkeys에서 진행한 2박 3일간의 바이브 코딩 실험이 끝났습니다. 이제 결과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저희가 증명하고 싶었던 것은 단순했습니다. "AI와 함께라면 정말 각 영역의 전문가 없이도 빠르게 간단한 서비스를 만들 수 있을까?" 답은 '그렇다, 그러나...'였습니다. 분명 성과는 놀라웠습니다. 서비스 MVP(Minimum Viable Product: 최소 기능 제품)를 개발 시작한 지 5시간 만에 완성했고, 2일 후에는 2개의 실제 서비스가 배포되었으며, 총 10,000줄 이상의 코드가 생성됐습니다. 저희가 사용한 비용은 단 130달러. 일반적인 개발 프로세스였다면 최소 1-2개월이 걸렸을 것이고 인건비를 계산하면 수백만 원이 들었을 수도 있는..
[바이브 코딩] #5: 실전 Day 2-3 - 백엔드 완성 그리고 배포
·
AI
들어가며안녕하세요, 개발자 Stark입니다!지난 편에서 프론트엔드까지 완성했다면, 이번엔 진짜 바이브 코딩의 핵심인 Claude Code를 활용한 백엔드 구축 과정을 공유하려고 합니다. 첫날밤부터 마지막 날까지 이어진 Claude Code와의 사투, 그리고 예상치 못한 배포의 벽까지. 이번 포스팅 한 줄 요약Claude Code로 백엔드를 완성하고 배포까지 도전했지만, AI도 못하는 게 있다는 걸 깨달은 48시간 바이브 코딩 시리즈 정리#1: AI와 2박 3일 - Monkeys 프로젝트의 시작#2: AI와 협업하기 위한 우리만의 법칙#3: AI 도구 선택과 12단계 계획#4: 실전 Day1 - 아이디어부터 화면까지 #5: 실전 Day2-3 - 백엔드 완성 그리고 배포 (현)#6: Monkeys 프로젝트 ..
[바이브 코딩] #4: 실전 Day 1 - 아이디어부터 화면까지
·
AI
들어가며안녕하세요. 개발자 stark입니다!저번 포스팅에 이어 이번에는 Monkeys 팀의 72시간 실전 개발 기록입니다. 저희는 잠과 식사, 산책을 제외한 모든 시간에 바이브 코딩을 진행했으며, 수면 시간도 조절하며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어떤 일정이었는지 소개드리자면 아래의 표와 같습니다.날짜시간활동비고Day 113:30강화도 출발 🚗- 16:00도착마트 들림 16:00-18:00아이디어 도출 & Claude Code 세팅본격 시작 18:00-20:00저녁 바베큐 파티 🍖 & 산책휴식 20:00-24:00Vibe Coding with OTT4시간Day 200:00-05:00Vibe Coding with OTT5시간 05:00-09:00취침 😴4시간 수면 09:00-12:00Vibe ..
[바이브 코딩] #3: AI 도구 선택과 12단계 계획
·
AI
들어가며안녕하세요, 개발자 Stark입니다!드디어 실전을 앞둔 순간입니다. 지난 편에서 저희 Monkeys팀의 프로젝트 진행을 위한 전략과 전술을 공유했다면, 이번에는 실제로 어떤 AI 도구를 선택했고, 어떤 순서로 개발을 진행하기로 했는지 구체적인 계획을 공개하려고 합니다. 솔직히 AI 도구를 선택하는 과정이 생각보다 어려웠습니다. Claude, ChatGPT, Gemini, Cursor, Figma, Readdy... 선택지가 너무 많았습니다. 게다가 각 도구마다 장단점이 뚜렷해서 "만능 도구"는 없었습니다. 결국 저희는 각 영역별로 최적의 도구를 조합하기로 했습니다. 그리고 2박 3일이라는 시간을 어떻게 쪼갤지도 고민이었습니다. 처음엔 막연하게 "그냥 열심히만 하면 뭐든 만들어지겠지"라고 생각했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