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트에서는 AWS의 계정 이중보안(MFA)을 설정하도록 한다.
1. MFA 설정하기 (1단계: 디바이스 선택하기)
1-1. 보안 자격 증명 접속하기
- 로그인한 상태에서 AWS 페이지에서 우측 상단에 있는 내 이름을 클릭한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메뉴가 나올 것이다.
- 체크박스 한 부분으로 들어가야 한다.
1-2.MFA 디바이스 할당하기
- 하단과 같은 페이지로 이동할 텐데 여기서 "MFA 디바이스 할당"을 클릭한다.
- 아래와 같이 MFA 디바이스 선택 페이지로 이동될 것이다.
1-3. 디바이스 선택하기
- 1단계 상단에서 디바이스 이름(식별할 이름)을 작성하고 하단에는 어떤 기기로 인증할지 선택한다. 나는 스마트폰으로 할 거라서 Authenticator app을 선택했다.
2. MFA 설정하기 (2단계: 디바이스 설정하기)
2-1. 디바이스 설정하기
- 아래처럼 나올 텐데 여기서 빨간 체크박스 한 "QR 코드 표시"를 클릭한다.
- 클릭하게 되면 아래와 같이 QR코드가 나올 것이다.
2-2. 아이폰에서 Google Authenticator 설치 및 등록하기
- ios의 앱스토어로 가서 Google Authenticator를 검색해서 설치한다. 이후 앱을 실행하고 QR을 통해 추가를 클릭해서 위의 QR코드를 촬영하면 앱에 계정이 연결되면서 아래와 같이 6자리 코드가 나올 것이다.
- 여기서 중요한데 코드 6자리가 나오는 것을 2번 입력해야 한다. 무슨 말이냐면 인증코드가 2개가 동시에 나오는 게 아니라 아래의 코드를 먼저 입력하고 20초 기다렸다 바뀌면 나오는 코드를 다음으로 입력하면 된다.
- 코드는 시간제한이 있어서 시간초가 많이 지나면 아래와 같이 붉은색으로 변한다. 이후 다시 새로운 코드로 바뀐다.
- 새로 발급되면 아래와 같이 파란색이고 우측의 원형 모양도 꽉 차있다.
2-3. MFA 코드 2개 입력하기
- 아래와 같이 입력하면 되는데 헷갈리면 위의 사진을 보고 와라
- 처음 나온 코드인 866076을 MFA 코드 1에 입력하고 20초 후에 다시 나온 코드인 458581을 MFA 코드 2에 입력하면 된다.
2-4. MFA 추가하기
- 하단의 "MFA"추가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팝업창이 나오면서 등록에 성공한다.
3. MFA인증 로그인 확인하기
3-1. AWS 로그인 시도
- 설정완료 후 다시 AWS 로그인을 시도해 보자 아래와 같이 MFA코드를 입력하는 부분이 생성된다면 성공한 것이다.
3-2. 로그인 성공
- MFA인증에 성공해서 콘솔 홈으로 이동했다. (로그인 성공)
이렇게 IAM에서 MFA 인증을 추가해줬다. AWS는 과금이 있는 서비스인만큼 보안이 중요한것같다.
과금폭탄을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꼭 이중인증을 등록하도록 하자!
2023.10.25 - [AWS] - AWS - EC2 생성과 Termius 접속방법
반응형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세미나 후기] - 클라우드 기반 아키텍처 빠르게 구성하기 (1) | 2023.11.0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