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테라폼을 사용하여 생성한 EC2 인스턴스를 파괴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 서론
이번 포스트에서는 terraform으로 생성했던 EC2 인스턴스를 제거해볼 예정이다. 이를 위해서는 테라폼을 통해 만든 EC2가 필요하다. 만약 생성하지 않았다면 이전 포스트를 통해 생성하고 오도록 하자.
1. 테라폼 파괴 명령어 입력 (destroy)
테라폼의 파괴 명령어 입력
- terraform apply의 반대 명령어로, 이것은 테라폼 상태에 지정된 모든 리소스를 종료한다. 현재 테라폼 프로젝트에서 관리되지 않는 다른 곳에서 실행 중인 리소스는 파괴되지 않는다.
terraform destroy
- destroy 명령어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plan이 동작해서 어떤것을 삭제할지 검사가 진행된다.
2. 실행 계획 확인 및 승인 (plan)
실행 계획(plan) 확인하기
- 만약 성공적으로 검사가 진행되었다면 맨 하단에 다음과 같은 명령어가 나올것이다. 테라폼은 파괴시에도 실행 계획을 표시하고 승인을 기다린다.
- 이제 아래와 같이 yes를 입력해서 삭제를 진행하자
3. 파괴 진행 및 완료 확인
테라폼 파괴 진행 및 완료
- Enter a value에 yes로 입력을 해주면 테라폼은 리소스 파괴를 진행하고 완료 후에는 "Destroy complete!"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 과정을 통해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 인프라를 제거하여 보안 노출과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복잡한 경우에는 여러 리소스가 있을 때, 테라폼이 의존성을 존중하여 적절한 순서로 파괴한다.
AWS 콘솔에서 EC2 확인하기
- 콘솔에 들어가보면 terraform apply 명령어로 생성되었던 ec2가 제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테라폼 show 명령어로 상태 확인
- show 명령어를 통해 테라폼의 상태도 확인해 본다. apply로 생성했을때와 달리 아무것도 없다고 나오는것을 확인했다.
테라폼의 핵심! 입력변수 variable과 출력 output을 사용해 보자👇🏻👇🏻
이 포스트는 Team chillwave에서 사이드 프로젝트 중 적용했던 부분을 다시 공부하며 기록한 것입니다.
시간이 괜찮다면 팀원 '평양냉면7 '님의 블로그도 한번 봐주세요 :)
반응형
'AWS > 테라폼(Terraform)'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라폼(Terraform) 사용 가이드 6: 테라폼으로 IAM 정책 생성/관리하기 (1) | 2023.12.05 |
---|---|
테라폼(Terraform) 사용 가이드 5: variable/output(입출력 변수) 사용하기 (1) | 2023.12.05 |
테라폼(Terraform) 사용 가이드 3: EC2 생성하기 (0) | 2023.12.04 |
테라폼(Terraform) 사용 가이드 2:MacOS에 테라폼 설치하기 (1) | 2023.12.04 |
테라폼(Terraform) 사용 가이드 1: 테라폼이란? (1) | 2023.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