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전! 테라폼 적용기3편 - Auto Scaling Group과 용량 공급자(Capacity provider) 작성
·
DevOps/테라폼(Terraform)
이번에는 Auto Scaling Group과 Capacity Provider를 테라폼 모듈로 생성하자 📌 서론 이전 포스트에서 vpc와 subnet을 설정했고 EC2 런치 템플릿을 모듈로 생성했다. 이렇게 생성한 EC2 런치 템플릿은 ASG에 의해 사용되어 인스턴스의 생성을 관리해 주고, 용량 공급자(Capacity Provider)는 ASG와 연결되어 인스턴스의 스케일링을 관리하는 데 도움을 준다. ASG는 EC2 런치 템플릿을 바탕으로 EC2 인스턴스의 생성 및 관리를 담당하며, 용량 공급자는 이런 ASG를 활용해 ECS 환경에서의 자동 스케일링을 조절한다. 이렇게 설정된 ASG는 ECS 클러스터와 연결되어, ECS에서 실행되는 컨테이너들이 적절한 자원을 가진 인스턴스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해준다. ..
실전! 테라폼 정복기 1편 - 테라폼(Terraform) 모듈화
·
DevOps/테라폼(Terraform)
이번 포스트에서는 테라폼의 가장 중요한 설계방법인 모듈화를 알아보자 📌 서론 내가 처음 테라폼 코드를 작성할 때는 module의 존재는 알았지만 도대체 이게 어떻게 사용되는 건지 모르겠어서 module을 사용하지 않고 하나의 tf 파일에 모든 리소스에 대한 코드를 전부 다 적었었다. 이렇게 하나의 tf 파일에 모든 리소스가 모이다 보니 리소스 수정을 하고싶을때 코드를 읽고 찾는 것이 너무 힘들었다. 그래서 조금이라도 가독성을 좋게 만들기 위해 여러 검색을 하던 도중 외국계 기술 블로거의 글을 보던 도중 테라폼 코드를 읽기 좋게 작성하려면 모듈화를 사용하라고 적혀있었고 이에 바로 모듈화를 적용시켜 보았다. 1. 테라폼의 모듈화란 무엇인가? 1-1. 테라폼의 모듈화란? 테라폼 모듈화(Modularizat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