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ECS와 ALB: 동적 포트 vs 명시적 포트 설정의 EC2 DNS 접속 이슈
·
AWS/ECS, ECR
ALB의 포트설정 이슈 해결 : 동적 vs 명시적의 차이점 기존의 ECS 서비스에서는 호스트 포트를 0(동적 포트 할당을 위함)으로 설정하고 컨테이너 포트는 8081로 연결시키는 "태스크 정의"를 만들고 ALB를 적용시켰다. 이렇게 적용시켰을때 퍼블릭 IPv4주소(DNS)로 웹 url로 접근했을 때는 접속이 불가능했다. 그런데 새롭게 태스크 정의를 만들었는데 이때는 호스트의 포트를 0이 아닌 8081로 정해(동적 포트매핑)서 만들었더니 웹 url에 퍼블릭 IPv4 DNS주소로 접속이 가능했다. 이에 이것들이 대체 무슨 차이가 있어서 이런 결과가 발생한 것인지 것인지 궁금해서 알아봤다. 1. 차이점 파악하기 1-1. 기존 ECS 태스크 정의 "컨테이너 포트 매핑" 확인 기존의 정의에서는 호스트 포트를 0으..